카테고리 없음

신규 취업자의 고용 유지율 분석: 왜 6명 중 4명은 1년 이내에 퇴사할까?

2blogin 2024. 11. 5. 19:51
반응형
LIST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신규 취업한 임금 근로자 10명 중 6명은 취업 1년 이내에 퇴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한국 고용시장에 만연한 불안정성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으며, 향후 노동시장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용 유지율 감소 추세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새롭게 취업하여 고용보험에 가입한 임금 근로자의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은 40.1%에 불과했다. 이는 2012년 42.4%에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20년에는 39.6%로 떨어진 뒤 2021년에도 이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저조한 수치는 신규 취업자가 직장에서 얼마나 오래 머무르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 직장 내 문화, 노동 시장의 이중구조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장사랑 고용정보원 책임연구원은 "안정적인 일자리는 안정성이 강화하고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는 그렇지 못한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즉, 일부 기업에서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반면, 대다수의 신규 취업자들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고용 상황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성별 및 연령대에 따른 차이

 

보고서에서는 1년 이상 고용 유지율을 성별과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30대(46.0%)와 40대(43.8%)의 고용 유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60세 이상(34.0%)과 29세 이하(37.4%)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나이가 많을수록 경력과 경험이 풍부해 고용 안정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젊은 층이 비정규직이나 임시직으로 근무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이들의 고용 유지율이 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학력이 낮을수록 고용 유지율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저학력 근로자들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를 많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사회적 불평등의 한 단면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학력이 낮은 근로자들은 낮은 임금과 비정규직 근무 등으로 인해 퇴사의 리스크가 더욱 크다.

 

 고용 유지율과 평균 근속기간의 괴리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012년 64개월에서 2021년 70개월, 2024년에는 76개월까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고용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고용 유지율은 10년간 제자리거나 오히려 소폭 후퇴하고 있는 상황이다. 평균 근속기간이 증가하는 이유는 신규 취업자 수가 줄어들면서 전체 근로자에서 신규 취업자의 비중이 작아졌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신규 취업자의 고용 안정성은 전체 근로자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현상은 고용시장에 내재된 구조적 문제를 시사한다. 고용의 불안정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일부 근로자들은 더 오랜 기간 일할 수 있는 반면, 많은 신규 취업자들은 고용의 덫에 걸려 불안한 직장 생활을 지속하게 되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

 

 향후 정책 방향

 

장 연구원은 "고용지표가 악화하는 시기에 고용 유지율이 낮은 집단을 지원할 세심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통계 수치를 넘어서,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신규 취업자들에 대한 지원 정책과 더불어 노동 수요 측면에서 고용 유지율 변화 원인을 추가로 검토해야 한다는 점도 중요한 제안으로 보인다.

 

고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 차원에서의 정책 개선과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 시장의 이중구조를 해소하고, 불안정한 고용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직무 교육 및 재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신규 취업자들이 보다 나은 고용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신규 취업자의 1년 이내 퇴사 현상은 한국 고용 시장의 심각한 불안정성을 반영하는 지표로,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시급하다. 장기적으로 고용 안정성을 높이고, 모든 근로자가 만족할 수 있는 노동 시장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한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초가 될 것이며, 고용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반응형
LIST